그동안 올린 사진들과 느낀 점을 적는 부분이라

중복되는 것들이 많을거다. @_@

 

 

 

시간이 지나 가격이 많이 떨어진 것과

풀프레임 바디가 나오면서 점점 올라가는 가격을 보고 있노라면

가끔 "이게 뭐지?" 하고 싶을 때가 있다.

캐논 R5, 니콘 Z8, 소니 A7R5, A7R4, 등으로 고민 많이 했다가

생각지도 못한 중형으로 방향을 바꿀 줄이야....

 

 

 

사실 중형으로 가지 못했던 것은

SLR클럽 리뷰에서 JPG로만 보정했기 때문이다.

"넌 왜 이미지가 이러냐?" 하고 고민을 포기한 적이 있었다.

RAW 파일 받아서 살펴보니 프로파일이 기본이 아니어서 생긴 문제;;;

기본으로 바꿔서 컨버팅 후 보정하니 내가 알던 색이 아니었다. @_@

리뷰에서 무슨 모드로 촬영 했는지 좀 알려주었으면 좋겠네;;;;

그렇게 며칠의 길고 긴 무덤 파는 삽질을 마치고 지르게 되었다.

파나와 시그마의 L마운트 바디들이 있으니 표준으로만 쓰자는 목적으로.

 

 

 

 

 

촬영 원본. 포토샵 불러오기 후 포토웍스로 리사이즈

 

 

 

 

 

내 스타일대로의 보정본. 막 보정 같은... ㅋㅋㅋ

 

 

 

 

 

첫 느낌은 진했다.

가장 부드러운 줄 알았던 기본 모드가 꽤 강력한 진함을 뿜어 내고 있었다.

포토샵 로우에서 프로파일을 바꿔도 마음에 들지 않아

기본 모드에서 세팅 값을 찾기로 결심했다.

 - 보통 이러면 2~3달 촬영 데이터는 그냥 지워버리기 마련이다.

 

 

 

오후엔 두물머리로 이동해 촬영했다.

 

 

 

 

 

 

 

 

 

 

 

 

 

 

 

 

 

 

두물머리로 이동해서 저녁까지 촬영하고 집에 들어와서 사진들을 보니

색감이야 처음이니까 그렇다 치지만 화질에 놀랄 수 밖에 없었다.

화질이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겠지만,

내가 느낀 것은

1. 해상력

2. 그로 인한 디테일

두가지가 제일 컸다.

색상에서는 아직 원하는 대로 나오질 않아서,

그리고 첫날 세팅을 잘못해서 찍은 것 때문에 얘기하기는 좀 그렇다.

 - 선명도를 낮추니 저장이 느려지다 보니 다시 0으로 맞췄다.

 - 후지에서 설명하는 선명도는 컨트라스트가 아닌 클라리티

 

 

 

물론 해상력 부분을 인터넷에 올리기엔 제한적인 부분이 있다.

컴퓨터로 원본을 맞이하면 입이 떠억[-0-] 벌어지는 디테일에 놀란다.

S1R에서도 느꼈지만 뭔가 다르다는게 느껴졌다.

섬세하다고 해야할까...

심지어 35-70 렌즈는 번들이라면서...

제일 아랫급 렌즈라 들었는데 이 정도면 다른 렌즈는... 우워~ 

 

 

 

 

 

 

 

 

 

 

 

 

 

 

 

 

 

 

 

 

 

 

 

밤에 촬영한 af는 생각한 만큼의 성능이었다.

af-s는 생각보다 빨라서 괜찮았는데

af-c는 내 건강을 위해 밤낮동안 아예 시도해보질 않았다.

아무튼 집에 와서 적지 않은 충격을 받고 하루를 마감했었다.

 

 

 

새로운 카메라로 인물을 촬영한다는 것은

무슨 자신감인지는 몰라도, 세팅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말이야.

ㄷㄷㄷㄷㄷㄷ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그냥 익숙한 거 가지고 찍어야 한다. ㄷㄷㄷㄷ

1~2장 색감 이쁘게 나온 사진들 때문에 또 뽕에 취한다

아..... -0-

 

 

 

 

 

 

 

 

 

 

 

 

 

 

 

 

 

 

 

 

 

 

 

 

 

 

 

 

 

 

 

 

 

 

 

 

 

 

 

 

마지막 사진은 핀이 안 맞은 줄 알았는데

망원 최대 개방이 소프트 필터 같은 느낌을 줘서

한두 번 조여야 원하는 성능이 나올 거다.

 

 

 

꽃밭이라 보라색 사진을 많이 찍었네.

보라색 잘 표현되는 카메라를 만나면 기분이 좋다.

디지털에서 잘 표현하지 못하는 영역의 색이니까.

그리고 컨트 연하게 사진이 나오면 기분 좋아진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4분 정도 시간을 줬는데도 사람이 찍힌다. @@

 

 

 

 

 

 

잔잔해서 반영이 나올 수 있었다.

 

 

 

 

 

 

기본 포맷은 4:3이다.

대부분 3:2 포맷이라 적응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포서드로 오랜 기간 단련된 나는 이질감 없이 촬영할 수 있었다.

포서드의 장점은 세로 사진 비율이 너무 좋다는 것.

풀프 카메라에서의 세로 사진은 일부러 포토샵을 통해 4:3 비율로 맞춰 주고 있다.

 

 

 

밤에 촬영하는 부분이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장노출로 인한 핫픽셀은 부담이 없었다.

물론 여름 되어야 정확하게 나오겠지만

같은 조건이면 풀프 카메라들은 반짝반짝하는데(특히 S5M2...)

장시간 노출에도(30분 정도...) 전혀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날 좋았던 해미읍성.

그러나 원하는 세팅이 아니어서 그런지

약간 색 바랜 사진이 되어 버렸다.

화밸은 꽤 정확하다.

보정하면서 컨트를 줄임에 따라 다른 색까지 영향이 있으니

아마 그 부분이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화밸에 대해서는 문제 삼지 않을 정도로 오토 화밸이 좋다.

 - 파나 S5M2와 같은 캘빈값으로 비교하면(5200K) 파나가 200K 정도 높게 보인다.

 

 

 

 

 

 

 

 

 

 

 

위 사진의 세로 버젼

 

 

 

 

 

흔들리는 대나무를 배경으로 굳건하게 서 있는 나무들 조합이 좋았다.

바람이 많이 불어서 촬영 가능했던 사진.

이로 인해 촬영 했던 장소를 몇 번 더 찾아가게 되었다.

 

 

 

 

 

 

 

 

 

 

이건 그냥 촬영해본 건데

잘 나온다. ㅡ_ㅡ

짜증 나게...

기본 렌즈인데 왜 잘 나오는 거니;;;

 

 

 

 

 

 

 

 

 

 

 

 

 

 

 

 

 

 

 

 

 

 

 

 

 

 

 

 

 

원하는 세팅을 찾고 나니 한결 괜찮은 이미지를 보여줬다.

일몰 전 아주 맑은 날씨를 잠시 보여준 덕분에 우울하지 않게

좋은 이미지를 찍을 수 있었다.

이제야 마음에 드는구먼.

세팅 빨리 찾아서 다행이야.

이 사진 이후로 카메라 기웃거리는 습관이 사라졌다.

"가지고 있는 바디 3개로 잘 찍자!!"라고 마음먹었다!!

 

 

 

 

 

 

 

 

 

 

 

 

 

 

 

 

 

 

 

 

 

 

 

 

세팅이 이뤄지니 원하는 표현에 다가가 찍을수록 마음에 드는 바디가 되었다.

화각이 아쉽긴 하지만 5천만 화소라는 부분에서 자유롭게 크롭해도

웹용 이미지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서 그 부분은 마음에서 버려두기로 했다.

"작가 할 것도 아닌데 웹용 사이즈만 나오면 충분하잖아?"

이렇게 렌즈 지름신을 물리쳤다. 우워ㅇ어어어엉 \-0-/

 

 

 

 

 

 

 

 

 

 

 

 

 

 

 

 

 

 

 

 

 

 

 

 

풍경, 정물 같은 정적인 촬영엔 모난 것 없이 좋은 바디이다.

시간도 꽤 흘러서 가격도 안정되어 있고...

 - 물론 중고가는 그렇지 않다. 새거 사면 폭락. ㅋ

메인 바디 하나로 운영한다면 부족할 수 있다.

내가 불만이 별로 없는 부분은

화소는 작지만 그래도 조금 더 빠른 피사체를 촬영 가능한

시스템과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아이들 사진은 연사 때문에 좀 힘들 수 있겠지만

 - 3연사 실화입니까...?

 - 그래도 촬영 못하는 것은 아니니까. 예전 꼬진 바디들로도 촬영했으니.

성인을 대상으로 한 촬영은 충분히 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풍경은 뭐 당연히 좋고.

 

 

 

이 화소 말고 1억 화소로 가는 분들이 더 많을 텐데

나는 용량 때문에 5천만 화소에 머물기로 했으니까.

1억 화소 무서워서 사진 못 찍을 듯...

물론 1억 화소 카메라면 지금의 컴퓨터도 당연하게 바꿔야 한다. -0-;;

 

 

 

jpg로 재미있게 촬영하고 있다.

수술을 핑계로 늦게 소감을 올리는 것 같네.

이번 달 주말에 나가고 싶은데 다리 부러질 것 같은 고통이 무서워서...

 

 

 

컨트라스트 af는 연습이 필요하다.

대부분 af 나쁘다는 말을 하는 이유가 이에 대한 연습이 적어서

핀이 다 맞지 않거나 답답한 상황이 연출되는 사진이 찍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예전 파나 gx7 사용할 때 

포기하지 않고 2년 정도 가지고 있었다.

처음 마음에 들지 않았던 색감도 af도 연습하다 보니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위상차와는 다르기 때문에 꼭 연습이 필요한 af 시스템이다.

그리고 촬영한 데이터를 확대해서 핀이 맞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이건 사람들이 시스템이 다른 부분을 동일시해서 일어나는 오류가 아닐까 싶다.

생각보다 많이 연습해야 한다.

역광 하늘이 답답하겠지만 연습은 많이 된다.

af 위치와 크기 조절로 꽤 연습해야 한다 @_@;;

 

 

 

별 것 없는 마음에 든 카메라 사용기 끝.

올해는 무슨 사진을 남겨줄까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