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재탕해야 글을 채울 수 있겠네.

너무 안 찍었네. 풀프 사랑해주느라 ㄷㄷㄷㄷ

 

 

 

 

 

 

1. 체감되는 화소의 변화

 

풀프와 같이 촬영하면 2000만 화소는 해상력에 안개가 살짝 있는 느낌인데

G9M2에서 그런 느낌을 크게 받지 못했다.

 

 

 

 

 

이 사진 보고 "어? 마포에서 나오는 해상력이 아닌데?" 라고 말했다.

 

 

 

 

 

라이카 모노크롬 모드. 좋아요. 많이 좋아요.

 

 

 

 

 

500만 화소 차이인데 좋다.

이 정도면 별 불만 없이 쓸 수 있다.

(이건 마포 유저가 직접 찍어보고 느낄 수 있는 부분일 것 같다.

타사 유저는 "왜? 별로인데?" 라고 답하겠지만...)

 

 

 

 

 

 

 

 

 

 

 

 

2. 다이나믹 레인지와 감도 100

 

GH6부터 2500만 화소와 감도 100이 마포 최초로 시작되었지만

사진쪽 DR의 낮은 평가로 두가지 모두 빛을 보지 못한 것 같다.

 

 

 

모든 감도 영역에서 다이나믹 레인지 부스트를 사용한 덕분에

전보다 넓은 영역의 밝음을 느낄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화이트에 자신이 없는지 기본 노출이 어둡다고 느끼고 있지만...

이 느낌은 G9도 마찬가지였다.)

 

 

 

 

 

 

이 얼마나 감동이란 말인가!!!

 

 

 

 

 

 

뭘 찍어도 감동이란 말이지 ㅠ_ㅠ

감도 100으로 시작하니 그동안 200에서 시작하는 것과 다르게

강한 빛에서도 더 낮출 수 있으니 좋고,

후라그쉽이라고 전자셔터를 1/32000s까지 해줘서

표현되는 범위가 더 넓다.

(S5M2가 이런 부분에서 보급기라는 느낌이 팍팍...)

 

 

 

제프 슨상님이

"존스케일의 10스탑 중에서 가장 밝음과 어둠을 제외하면 8스탑,

2개씩 잘라도 3,4,5,6,7,8, 6스탑이니,

모든 카메라는 충분히 표현 할 수 있다."

 

 

 

아뉘 그래도 부드러움은 별개의 문제지만 높으면 좋잖아.

요즘 카메라들 DR 넓다고 해도 암부로 치중되어 있어서

이왕이면 어쩌구 저쩌구 멍멍이 소리 시전 중...

 

 

 

"너님이 보는 눈과 똥손의 콜라보로 표현을 못하는 것이다!!!"

(마음에선 그렇게 들리긴 했는데 + 없는 오해 만들기)

라고 말하진 않았지만,

뭐 이미 카메라는 모두 다 표현하고 있다니,

없는 실력을 탓해야지 ㅠ_ㅠ

이런 이야기도 G9M2 덕분에 오고 갔다.

 

 

 

그래도 풀프랑 같이 찍으면 화이트홀 생기는데 어떻게 해 ㅠ_ㅠ

같은 노출로 촬영하면

풀프는 파란 하늘의 그라데이션이 다 표현되는 반면,

마포에선 하얀 부분이 늘 존재했다.

 

 

 

구름의 하이라이트를 위 사진처럼 표현 못하고

구름이 날아가든가, 바다가 흑해처럼 되든가,

흑백논리처럼 한가지를 포기해야 했는데,

지금은 다 할 수 있으니까...

난 좋아. 헤헤헤헤

 

 

 

 

 

3. 배터리 효율은 아직도 별로구나.

 

올림푸스 E-P7을 써보니 배터리 용량이 2배가 넘음에도

촬영 매수를 보면 형편 없다.

500장 정도는 촬영 해줘야 플래그쉽이라는 이름이 어울릴 것 같은데,

더 낮은 배터리 용량의 보급기랑 별 차이가 없다.

펌웨어로 살짝은 개선 될 수 있을지 모르겠네.

 

 

 

 

 

 

 

 

 

 

 

 

4. 풀프와 같은 무게와 크기

 

이건 단점이면서도 장점인 이유가 확실하다.

장점이라면

기업의 측면에서 블록화로 인한 가격 절약.

 

 

 

단점이라면

유저의 측면에서 쓸 데 없이 크다.

 

 

 

"마포는 작고 가벼워야 한다" 라는 인식이 대부분 강한 것 같다.

포럼을 둘러보면 작고 가벼운 카메라를,

유저들은 확실하게 마포에 많이 강조하고 있다.

 

 

 

크기가 크지만 렌즈까지 비교하면

풀프와 같이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훠얼씬 더 가볍기 때문에

한번이라도 더 들고 가려는 것은 있다.

 

(물론 더 가벼운 E-P7에 단렌즈 하나 물리면 장땡이지만 ㅠ_ㅠ

욕심이라는게 한번 발동되기 시작하면 끝이 없으니

개인적으로 바디 크기에 대해서는 타협을 한 것 같다.)

 

 

 

GX9 사용할 때도 그립 없으면 사진이 흔들려서 부피가 커져 버렸다

난 이렇게 크기에 대한 타협을 사진과 함께 진행한 것 같네

ㄷㄷㄷㄷㄷㄷ

 

(셔터의 위치에 따른 영향도 있다!!

올림 E-P7은 그립 없이도 흔들림 없이 촬영 할 수 있으니까!!!!)

 

 

 

 

 

 

 

 

 

 

 

 

 

 

 

 

 

 

원하던 DR 부분을 채워줘서 예판 참여해서 잘 쓰고 있다.

바디가 4개다 보니 많은 사진은 못 찍어 준 것 같은데,

월말에 100-400 사면 자연스럽게 많은 사진 찍을 수 있겠지.

 

 

 

아무튼 난 만족! 대만족!

3천만 화소 넘는거 만들어 줄 지 모르겠는데

기대는 많이 된다!!

 

 

 

아! 고감도 얘기 빠졌네 ㅋ

 

 

 

 

 

 

 

 

 

 

 

G9M2 감도 6400

 

 

 

 

 

 

S5M2 감도 6400

 

 

 

 

 

 

5. 고감도

 

개나 고양이 털로 고감도 비교하는게 꽤 정확한 듯.

뭉개짐이나 해상력 부분도 같이 확인 할 수 있어서 좋아.

ㄷㄷㄷㄷㄷㄷ

 

 

 

많이 발전했다. 이정도면.

기술의 발전으로 마포가 이렇게 올라왔다니.

G95 쓸 때 한번의 변화를 느꼈는데

G9M2에서 한번의 변화를 또 느꼈다.

 

 

 

물론 고감도 디테일은 풀프에 비교하면 안되지만

(물리 면적 4배 차이와 풀프와 비교하는 양심 무엇?)

마포 유저들이 감지덕지 하는건

초기부터 형편없는 노이즈 때문일지도 ㄷㄷㄷㄷㄷㄷ

파나 풀프가 다른 브랜드에 비해서

노이즈는 살짝 떨어지는 성능을 보이는 것도 생각하면.. 음...

몰라. 난 잘 쓰고 있으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길게 썼다.

소감 끝!!!

 

 

 

 

 

 

 

 

 

 

 

 

 

 

 

 

 

 

 

 

 

 

 

 

 

 

 

 

 

 

 

 

 

 

 

 

 

 

 

 

 

 

 

 

 

 

 

 

 

 

 

 

 

 

 

 

 

 

 

 

어느 순간 바다로 나가는 날이 많아졌다.

해가 기울어진 빛 속에서 느껴지는 작고 다양한 빛들이 아름다워서

나가기 시작했으리라.

 

 

 

옅은 명도와 채도 속에서 보이는 빛의 그라데이션.

명과 암에 대한 점진적인 변화가 아닌,

색에 대한 변화가 아주 자그마하게 일어난다.

그 작은 빛을 담기 위해 바다로 나가는 것 같다.

 

 

 

 

 

 

 

 

 

 

 

노랑이나 오렌지보다 마젠타가 뚫고 나올 것 같네. 색온도 적당히 높여야지...

 

 

 

 

 

 

색온도를 높게 설정했더니 마젠타가 뚫고 나올 지경이고 ㅠ_ㅠ

실패했으니 또 가야지. 어쩌겠어...

 

 

 

아무튼...

몽산포에서 그런 빛을, 내가 설정을 잘못한 덕분에 바람처럼 날아가 버렸다.

찍을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첫 방문이니까,

신중함과는 거리가 먼, 인증샷 같은 사진이 찍힌다.

 

 

 

 

 

 

살짝살짝 파랑, 살짝살짝 오렌지, 그리고 검은색

 

 

 

 

 

찍고 돌아보면 늘 아쉽다니까...

로우 파일로 찍었으면 편했을텐데 제피지라서 보정 안됨.

이럴 땐 다시 로우 파일로 가고 싶지만, 외장하드 채우다가 끝날 것 같다.

 

 

 

 

 

 

 

 

 

 

 

 

 

 

 

 

 

 

 

 

 

 

 

구름에 포토샵으로 눈이랑 이빨 대충 그려서 용으로 만들고 싶네 @_@

 

 

 

 

 

 

저 먹구름이 눈구름일 줄이야...

'별 한장만 찍자!' 했는데, 눈오는건줄 몰랐지 ㅠ_ㅠ

그렇게 허무하게 숙제만을 남긴 채 몽산포 첫 여행이 끝났다.

다시 찍어보리라.

날씨가 어떨진 모르겠지만...

 

 

 

 

 

 

 

몽산포 해수욕장에서 보이지 않던 풍경들이 있다

지도로는 바로 옆이지만 생각보다 거리가 떨어져 있는 곳

눈오는 날 나무 풍경 때문에 잠깐 세웠던 곳이

몽산포항 들어가는 입구였다니...

 

 

 

그땐 눈이 20cm정도 와서 운전하고 들어갈 생각을 하지 않았다

몽산포해수욕장 가는 길인줄 알았지...

마트가 없어서 다른 길이 있나 했더니 같은 길인데 둘러 가는 길이긴 하지만;;

 

 

 

날씨가 좋아서 해지는 풍경을 만날 수 있었다

바로 밑은 구름에 가려져서 다 볼 수는 없었지만

나름 멋진 풍경을 선물해줬다

 

 

 

처음 간 장소에서 스케치 촬영도 해야 하니

열심히 셔터질 했는데,

색온도를 집그늘 표시로 찍었더니

색을 많이 잡아야 하는 일이 생기네...

다음엔 구름 정도로 타협 후 보정으로 살짝 어떻게 더 해야겠다

마젠타 빼느라 힘들었네

휴....

 

 

 

생각보다 이런저런 풍경들이 많아서 찍는동안 행복했다

 

 

 

 

 

 

 

 

 

 

 

 

 

 

 

 

 

 

올리기 힘드네... ㄷㄷㄷㄷ

스케줄을 너무 많이 만들었나..

해야 할 일들이 많다 ㅠ_ㅠ

 

 

 

간월도 눈사진 몇 장 더 올려본다

조명에 비춰지는 눈이 수월하게 촬영될 줄 알았는데

많이 내려서 그런지 어려웠다

 

 

 

밤중에 셔터스피드로 해결하려고 했으니

노출 확보하기가 힘들었을거다

아무리 노이즈 좋은 풀프레임이라도

감도 많이 올리기 힘드네 ㅠ_ㅠ

 

 

 

 

 

 

 

 

 

 

 

 

 

 

 

 

 

 

 

 

 

 

 

 

 

 

 

 

 

 

 

 

 

 

 

 

 

 

 

 

 

 

 

 

 

 

 

 

이번엔 G9M2로 찍은 사진

 

 

 

 

 

 

 

 

 

 

 

 

 

 

 

 

 

 

 

 

 

 

 

 

 

 

 

 

 

 

내 기억엔 올림 75.8로 눈인지 비인지 암튼...

뭐가 내린 기억으로 찍은 것 같았는데

사진 찾아보니 전혀 아니었네...

 

 

 

좋은 감정으로 찾아간 곳에서 때마침 펑펑 내리는 눈을 볼 수 있었다

그 전날도 꽤 많이 온 것 같았는데

오후가 되면서 다시 내리기 시작했다

지나가던 할머니의 한마디가 생각난다

'또 눈오네. 염병.'

......

미친놈처럼 눈와서 좋다고 찍고 있는데..

 

 

 

하긴 회사에서 눈오면 나도 똑같이 말했을거다

눈 치워야 하니 하얀 쓰레기가 하늘에서 내려오고 있었으니까

 

 

 

아무튼...

든든하게 방진방적되는 녀석들로 무장해서

골목길 탐방을 시작했다

구석구석 열심히 누비며 셔터질 했건만, 뒤돌아보면 늘 어려운 사진이다

눈에 보이는 것처럼 멋진 장면을 담고 싶었지만 참 어렵다

 

 

 

 

 

 

 

 

 

 

 

 

 

 

 

 

 

 

 

 

 

 

 

 

 

 

 

 

 

 

조명에 비춰지며 내리는 눈이 아주 작은 우주처럼 느껴졌다.

늘 먼지라고 소개하는 그분의 유튜브를 많이 봐서 그런가...

별 게 우주라고 느껴지네;;

 

 

 

나름 우주처럼 보이려고 셔터 스피드를 달리하며 찍은 나는 뭐지

갑작스레 눈 사진 찍다가 현타가 왔다

ㅠ_ㅠ

그래도 이쁘기만 한 걸 어떻게...

ㅠ_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