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갑 선생님의 사진을 알기 전까지

"바람"은 그저 오감을 2차원의 시각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난해한 존재였다.

몇 년 동안 여러 가지를 시도했었지만 '이게 바람인가?' 싶은 사진들만 남아

머릿속에 궁금함만 가득 채워 넣고 있었다.

 

 

 

'잘 찍힌 사진 확률 계산하기'란 글을 작성하면서 고민을 철저하게 했다.

김영갑 선생님의 사진집을 펼쳐보며

내가 찍을 수 있는 제한된 시간에 한 장이라도 더 찍으려면,

정리된 생각과 촬영 기술로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첫 시도처럼 된 사진. 그동안 망쳐서 사진을 지웠으니까. 하하하하

 

 

 

 

 

 

어떻게 찍어야 할지 모르니

사진도 방향성 없는 평범한 사진이 돼버린다.

흔들림에 치우치니 갈대가 바람에 흔들리는 듯한 사진만을 계속 남긴다.

그리고 이건 아니라 얘기하며 지우기를 반복한다.

 

 

 

그렇게 3주의 시간을 보냈다.

아무것도 아닌 것에 3주의 시간을 보내고 남지 않으니 허무했다.

나에게는 남지 않은 기분이 남아,

공허한 머릿속을 역설적으로 가득 채웠다.

 

 

 

 

 

나름 성공한 사진

 

 

 

 

 

 

한 장을 얻었다.

원하는 표현에 비슷한 한 장을...

색감은 뒤틀어져서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상상했던 그림을 나타내서 기분이 괜찮았던 사진이다.

색감 뒤틀리고 어쩌고는 나중 문제이고,

피사체 표현이 가능하냐 하지 않느냐가 더 먼저니까...

 

 

 

사실 다중 노출 기능을 이용한 촬영을 하고 싶었지만

내 카메라에는 그런 기능은 없다.

소지한 두 카메라 모두 그런 기능은 없다 ㅠ_ㅠ

다만 한 카메라에 다른 기능이 있어 원하는 것이 나올까 궁금하던 차에

지난주 주말,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다중 노출 같은 이미지.

뼈대는 존재하는 이미지에 흔들리는 것들.

그래! 내가 봐 왔던 사진이야!!

이제야 나타낼 수 있었구나 ㅠ_ㅠ

 

 

 

사진 한 장에 나타난 이미지가 그동안의 생각을 보상해 주니

그래도,

'그동안 고민하고 무의미하다고 말하며 찍었던 사진들이 헛되진 않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 정확한 사진은 아니지만 보여줬으니까.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길이 보였으니까.

 

 

 

뇌리 깊숙이 새겨졌으니 바다 장노출 사진에도 영향을 끼칠 것 같다.

별사진도 그렇고...

으하하하하하하하 기분 좋네.

 

 

 

 

사진은 그림을, 그림은 사진을 따라가는 것처럼,

그림 같은 사진을 향한 본격적인 작은 한걸음이 시작됐다.

 

 

 

 

 

 

 

 

 

 

 

 

스냅 사진 촬영에서도

실내에서 셔터스피드 1/125s를 사용하지 못했다.

남들보다 조금 높은 최소값으로 1/160s를 사용했다.

이유는 단순하다.

손떨림 때문에 셔터스피드를 사람들이 사용하는 표준으로 내리면

난 절대로 사진을 건질수가 없었다. ㅠ_ㅠ

 

 

 

어제 포럼을 돌아다니다

회사 근처로 슈퍼문(?) 촬영을 하러 오신다는 글에

회사도 20분 조기퇴근 할만큼 부랴부랴 가서

나름 열심히 촬영은 했다.

300mm로 달 찍기엔 아쉬움 가득이라

달빛이 주는 주변을 잘 이용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이리저리 셔터를 눌렀다.

 

 

 

조금 더 돌아다니다 날씨가 구름이 가득해 복귀하고서는

피곤해서 바로 잠이 들어 버렸으니,

오늘에서야 사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죄다 흔들린 사진을.

무슨 손에 모터를 달았나....

아니 손에 모터 달린 사람들은

동작이 빠르거나 뭔가 휙휙 하는 느낌인데

내손에 달린 모터는 진동만 남았네..

시부레.. ㅠ_ㅠ

손떨방 분명히 껐는데....

하아.. ㅠ_ㅠ

 

 

 

 

 

달은 당연히 합성이쥬 @_@

 

근무와 휴일이 주는 불공정함을 생각하며

주말만 사진 찍는 내게,

한 장의 사진을 얻기 위한 계산을 해보니

로또만큼 어렵다는 결론이 나오더라.

 

 

 

1년 365일 중 사진 촬영 할 수 있는 시간 = 96일

격주 근무니 토요일 절반을 계산하면 = 72일

날씨 좋은 주말, 장소,

배터리 안 챙긴날, 메모리 안 챙긴날,

집안 사정, 개인 약속 등등등...

72일 중 절반만 성공해도 36일...

확률상으로 10%.

특히 올해처럼 여름과 사유의 겹침으로 3개월을 날려버리면,

그 확률은 학창 시절 전교 1등과 같은 느낌으로

압도적으로 1에 가까워진다.

 

 

 

 

 

70-300

 

 

 

 

 

 

바람이 남긴 것을 촬영하고 싶었으나

무엇을 찍을지, 어떻게 찍을지,

어떤 결과물을 원했는지 "잘" 몰랐기에,

카메라 액정에 보여지는 결과물도

"늘" 한심한 사람의 결과물이었다.

 

 

 

지난 주말 본가에 가서 책장을 확인하니

김영갑 선생님의 사진집을 가지고 있었네?

바람 느끼는 것을 오감이 아닌,

오직 타인의 정사각형에 갇힌 시각으로 보이는 것에

너무 감동해 구매했던 책인데...

이제서야 다시 느끼다니.

망각의 동물인 건지, 그냥 망각인 건지, 그냥 동물인 건지,

알 수 없는 느낌이 발아래에서 뇌까지

한겨울 추웠다 따뜻한 곳에 들어가 느끼는 온기처럼

순식간에 지나갔다.

 

 

 

 

 

100 마크로

 

 

 

 

 

 

나름 따라 한다고 이렇게 저렇게 해봤지만 느낌은 살지 않았다.

나뭇가지에 매달려 바람 부는 잎을 바라보면,

강력하면서도 부드러움을 느끼지만,

내 사진은 전혀 표현하지 못했다.

 

 

 

물론 20년을 바쳐 온 작가님의 시간에 비하면,

이제 카메라 구입한 신입과 같은 보잘것없는 사람이지만,

나름의 사진 경력에 뭐라도 나올 줄 알았던 것은 어찌 보면 자만이었다.

"잘"이라는 단어가 주는 어떤 마술, 아니 마약 같은 통제되지 않는 취함이었을지도...

 

 

 

 

 

시그마 65mm f2.0

 

 

 

 

 

 

찍을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이용하되, 똑똑하게 시간을 줄여서 활용해야 한다.

평일 근무가 끝나는 시간이면 이유와 분석과 공부를 이용해,

필드에서의 시간이 아깝지 않게 1초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사진 찍는 시간의 불공정함이 주는

좋지 않은 기분을 줄일 수 있으니까...

 

 

 

최초의, 근본적인 생각이 이미 글러먹었네.

지금이라도 깨우쳤으니 실행할 일만 남았구먼.

"잘"이라는 단어가 주는 기생충 숙주 같은

행동 지침과 생각들을 빨리 벗어나야지.

애초에 "잘"이라는 말이 주는 함정은

포장되어 보이지 않았으니.

 

오픈 한 지 얼마 안 된 신규 가게다 보니 시간이 남는다.

마크로 렌즈 사서 열심히 둘러보다 보면

이런저런 생명체를 만나게 된다.

바람 불면 흔들거려서 촬영하기 힘들구만...

심도 어지간히 확보되지 않으면 초점 맞추기도 힘들고..

쉬운 게 없네 ㅋㅋㅋㅋㅋㅋ

느린 fp이지만 그래도 열심히 찍었다.

"한 장은 나오겠지"란 심정으로...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회사 앞에서 담아본 구름 모습들..

지금은 비 때문에 담을 수 없지만

매일매일 구름 모양을 열심히 담을 듯하다.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시그마 fp + 파나 100mm f2.8 마크로

 

 

 

 

 

 

 

 

G9M2 + 40-150 x1.4

 

 

 

 

 

 

G9M2 + 40-150 x1.4

 

 

 

 

 

 

G9M2 + 40-150 x1.4

 

 

 

 

 

 

S5M2 + 24-105

 

 

 

 

 

 

S5M2 + 24-105

 

 

 

 

 

 

G9M2 + 40-150 x1.4

 

 

 

 

 

 

G9M2 + 40-150 x1.4

 

 

 

올리지 않은 사진과 글들이 많네;;

뭔가 어딘가에 열심히 올리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중간중간 잊어버리고 사네.. 헐이다;;

 

 

 

다른 사람들도 그러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렌즈가 바뀌면 그것에 맞는 피사체가 뭘까 고민하다 들이대다

하나 걸리는 느낌이랄까 @_@

십리포 해수욕장에서 찍은 반짝이는 물결 사진도 그런 것 중 하나였다.

 

 

 

 

 

비슷하게 나오겠지 하고 찍었다가, 비슷하게 나오지도 않은 사진

 

 

 

 

 

 

오기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도전 정신?

핸드폰에서 보는 윤슬 사진과 컴퓨터로 보는 윤슬 사진이 다르다.

보정을 하고 카톡으로 옮겨서 핸드폰 배경화면을 위해 사진을 업로드하는데

오늘 올릴 사진의 윤슬이 핸드폰에서는 1도 느껴지지 않았다.

아~ 그래서 저번에 크롭하고 구도 이리 저래해보고 생난리를 했구나.

화면이 커지니 내가 원하는 사진이 보이더라;;

보이는 화면이 작아지니 뭔가에 집중하기 위해 "강렬할 수밖에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살짝살짝 달라지는 햇빛과 파도와 나와의 위치 때문인지

바다 색이 조금씩 틀려지는 것을 경험한다.

아니면 오토 화밸 때문인가;;

어쨌든, 보였던 그대로 원하는 색을 소중히 간직한 채로

컴퓨터에 온 힘을 쏟아야 할 듯하다.

 

 

 

그동안 광각으로 전체를 담다가 망원으로 부분만 담아내니

확실히 강조되어 이쁜 사진을 남겼다.

더 망원을 사야 하나 보다;; ㄷㄷㄷㄷ

근데 매물이 나오질 않아 ㅋ

 

 

 

 

 

 

 

 

 

 

 

개인적으로 너무 이쁘게 나왔다

^______________^

몇백 장 찍어서 하나 건지려고 이런 노력을 하는 걸 보면

나도 어지간히 정상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뭐 그렇다. ㅋ

중간중간 셔터 딜레이가 생기지만

그것보다 AF를 좀 더 잘 잡을 수 있게 충분한 요령을 느껴야 한다.

AF 실패로 초점 버벅거려서 찬스를 날린 것도 있었으니까.

 

 

 

요 사진 이후로 노출에 대해서도 많은 변화가 왔다.

어디까지 어떻게 보일 것에 대한 세세한 변화 때문인지,

어디인지 모르게 살짝씩 내 사진이 달라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거 굉장히 마음에 드는 사진이라 패드 배경으로 해놨는데

블로그에 올리지 않았다니....

기억력이 바보가 되는구만.

스르륵이랑 너무 병행해서 그런가? ㅋ